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소식

조정대상지역 신규 선정 !! 경기 파주 ,울산,부산 ,천안 등 총 36곳 지정!!

by 비글이네 2020. 12. 18.
728x90
반응형
SMALL

안녕하세요~

거리두기 3단계를 진행하는지 유무를두고 굉장히 고심을 하고 있다고 하는데요

벌써부터 식재료를 사재기하는 분들이 많다고 들었습니다.

마스크도 그랬고 우리나라가 당장에 밥을 못먹게 굶기게 두겠습니끼?

심리라는게 무섭습니다~대형마트들은 주차조차 힘들다고 할정도 입니다.

사재기보다 조금만 증상이 있으면 언제든지 검사를 받아서

더이상의 확진을 막는게 우선이라고 생각합니다.

3차 재난 지원금도 2021년 1월 지원 하는 방향으로 진행한다고 합니다.

 

오늘은 부동산 규제지역 조정대상지역 추가 선정 소식을 전해 드릴까 합니다~

 

 

2020년 12월 18일 신규 조정대상지역 선정
부산 서,동,영도,부산진,금정,북,강서,사상,사하구
대구  중,동,서,남,북,달서구,달성군
광주 동,서,남,북,광산구
울산 중구,남구
경기 파주
충남  천안( 동남,서북구), 논산,공주,
전북 전주( 완산,덕진구)
경남 창원 성산구
경북 포항남,경산
전남 여수,순천,광양

가장 많은 부산시를 시작으로 대구 ,울산,광주  광역시의 23개 지역이 추가로 또,

경기도 파주 ,천안,순천등 에서  13개개역 총 36개 지역이

신규로 조정대상지역으로 지정되었습니다.

 

ytn뉴스보도자료 조정대상지역 신규 지정 

조정대상지역 동지역 전체 지졍  제외지역 및 투기과열지구 현황
읍면 지역 일부 제외 대구 달성
( 가창면,구지면,하빈면,논공읍,옥포읍,유가읍,현풍읍)
파주 ,천안 (동남 ,서북)
포항남,경산,논산,공주,여수,순천,광양
투기과열지구 지정  경남 창원 의창 (동지역,북면,동읍)

 

투기 과열지구로 새로 지정이 된 청원은요 

타지역에서 갭투자를 목적으로 투기를 하는 분들이 몰려서

집값이 너무 올랐다고 하는데요 

성산구는 조정대상지역으로 선정이 되고 

의창구는 투기과열지구로 신규 지정이 되었습니다.

 

경기도 김포도 오를데로 올려놓고 조정대상지역으로 나중에 묶고 

파주로 몰리니 다시또  조정대상지역으로 지정이 되고 

이제 우리나라에서는 거의 모든 지역이 조정대상지역이 되는건 아닌가 모르겠습니다.

또 모르지요 정권이 바뀌면  제일먼저 개선이 될것이 부동산 대책이 아닐까 합니다.

한표 한표를 얻기위헤 아마도 부동산문제를 대표적으로 공약으로 내지 싶을정도입니다.

조정대상,투기과열지역 현황 국토부

 

조정대상지역 신규 선정과 같이 해제된곳도 있는데요~

 

" 인천 중구 ,양주시, 안성시 읍면 일부 지역 해제 " 

조정대상지역 & 투기과열지구 지정이 되면??

세제강화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장기보유특별공제 배제 
2주택이상 보유자 종부세 추가 과세 

금융규제강화

2주택 이상 보유 세대는 주택담보대출 금지 ,
LTV( 9억원 이하 50% ,9억원 이하는 30%)적용,
DTI 40%~50%
실거주외 주택담보대출 금지 
자금조달계획서 필수,조달증빙자료, 등

청약규제강화

분양권 전매 제한 
소유권이전등기,분양가 상한제 적용되는 주택 전매제한 기간
가화 (5년~10년) 

조정지역,투기과열지구 정리 국토부

 

조정대상지역이 되면 각종 세금과 금융 규제등이 강화되어

실질적인 투기를 잡는데 목적인데요 

국토부에서는 합동 점검반을 구성하여 

부동산 불법거래와 과열지구에 편법으로 주택이 구입했는지 

실질적인 수사등을 통해서 중개소에서의 불법행위도 단속하여

자격증을 취소 시킬수도 있다고 합니다.

 

경기도 파주 신도시 모습

대한민국 참 많은 지역이 규제지역으로 지정이 되었네요~

내집마련하고자 많은 분들이 고생고생해서 장만을 하는데요 

투기를 잡기 위해서 전국을 조정대상지역으로 묶인다면 

현금의여유자금이 없는 사람들은 어쩌라는 말입니까?

정부의 대책데로 집사지말고 임대로 나라에 월세 내며 살아야 하는게 답인가요?

 

공공주택이 답은 아닌거 같은데요! 

그돈으로 나라에 내느니 은행에 내고 내이름으로된 제대로 된 집 마련이 꿈 아닙니까!!

 

 

물론 공공 주택을 활성화 하는것은 좋은 추지이지만 강요는아니지 않느냐 이말입니다.

부동산은 하루가 다르게 거품이 꺼지느니 내년엔 더 오른다니 의견이 갈립니다.

누구의말이 맞는건가요? 

반응형